금값 정보
美 트럼프의 정책 불확실성에 인플레이션 우려감 증가되며 헤지 수요 증가에 국제금값 사흘째 상승세
☞한국금거래소-美 트럼프의 정책 불확실성 속 인플레이션 우려감 증가되며 헤지 수요 증가에 국제금값 사흘째 상승세
▷ 美 미 카터 전 대통령의 국가 장례식에 따른 '국가 애도의 날(National Day of Mourning)'로 시장이 휴장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한 불확실성 속 인플레이션 재가열 우려감에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금 수요가 금값 상승을 지지하며 국제금값(XAU/USD) 사흘째 연속 상승하며, 2,670$/T.oz선 유지
▷ 美 12월 비농업 부문 고용지표(NFP) 발표를 앞두고 11월에 기록한 227,000명보다 164,000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금은 낙관적인 고용 보고서보다 실망스러운 고용 보고서에 더 강하게 반응하므로 예상치보다 하회하면 금값 상승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 美 연준 위원들이 경제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성 때문에 올해 추가로 금리를 낮추는 데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현재 금리 수준이 '중립'이라고 평가
○ 美 연준 미셸 보먼 이사는 캘리포니아 은행연합회 행사에서 "연준 기준금리는 팬데믹 이전보다 높아진 나의 중립금리 추정치에 이제 근접한 수준"이라며 "정책 조정에 더욱 신중하고 점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려 한다"라고 언급하고, 현재 금리 수준이 '중립'이라고 평가
○ 美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제프 슈미드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가깝고 성장률은 지속적 모멘텀을 보이고 있다"라며 "경제가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지점에 가까워졌고 정책은 중립 수준이어야 한다"라고 언급
○ 美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패트릭 하커 총재는 뉴저지 주에서 열린 경제전망 행사에서 "나는 여전히 연준이 금리 인하 경로에 있다고 본다"라며 "연준은 데이터가 더 나올 때까지 현재 위치에서 당분간 더 머무를 수 있다"라고 언급
▷ 시카고 상품거래소 (CME Group)의 페드워치(FedWatch) 툴에 따르면 美 연준이 오는 1월에 기준 금리 동결 확률을 93.1%로 반영하고, 올해 美 연준이 금리를 한 차례 인하할 가능성이 32.2%를 기록하고, 2회 인하할 가능성은 32.4%, 3회 이상 인하할 가능성은 22.9%를 기록
▷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의 무자비한 공격에 맞서 상당한 인력 손실을 견뎌내며, 러시아 국방부는 자국군이 세베르스크와 차소프 야르에서 우크라이나 여단을 격파했다고 발표
▷ 이스라엘의 공습은 월요일 이스라엘인 3명의 사망자를 낸 공격의 여파로 수요일 요르단강 서안 지구 전역에서 계속되고,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 남부에서 인질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발표
▷ 영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전장 대비 1.30bp 상승한 4.8133%에 거래를 마감하고, 장 초반에는 4.8972%까지 상승하며, 지난 2008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 이는 국채금리가 상승하면 통화는 강해지지만, 재정 악화 우려가 증가되며 파운드 약세로 달러 강세를 견인하며 파운드화 달러 대비 환율은 한때 1.22390 달러까지 하락하며 지난 2023년 1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
▷ 달러 가치 '상승' 美 국채금리 '혼조세' 국제금값(XAU/USD) 2,660$/T.oz선 이상으로 '상승'
○ 美 국채금리 벤치마크인 10년물은 4.691%를 기록하고 전일 대비 0.30.bp '하락', 통화정책을 반영하는 2년물은 4.274%를 기록하고 전일 대비 1.50bp '하락' 최 장기 30년물은 4.932%를 기록하고 전일 대비 0.10bp '하락' (이날 뉴욕 채권시장은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국가 장례식으로 인해 오후 2시 조기 마감)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109.154을 기록하고 전일 대비0.119% '상승'
○ 국제금값(XAU/USD) 전일 대비 '상승'하며 2,670$/T.oz선 유지
○ 금값은 美 노동부 12월 비농업고용지수(Nonfarm Payrolls) 발표 주목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
번호 | 제목 | 날짜 | 작성자 | 조회 |
---|---|---|---|---|
182 | 美 트럼프의 취임 첫날 신규 관세 조치를 언급하지 않으... | 10:50 | 순금나라 | 15 |
181 | 美 트럼프 정부 출범을 하루 앞두고 정책 완화전략 변화... | 2025.01.20 | 순금나라 | 61 |
180 | 美 연준 월러 이사의 비둘기 발언에 금리 인하 기대감이... | 2025.01.17 | 순금나라 | 135 |
179 | 美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 둔화 발표에 美 연준의... | 2025.01.16 | 순금나라 | 87 |
178 |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둔화하며 달러 가치 하락에 국... | 2025.01.15 | 순금나라 | 116 |
177 | 美의 예상보다 강한 고용지표 발표에 달러 가치 상승에도... | 2025.01.13 | 순금나라 | 176 |
176 | 美 트럼프의 정책 불확실성에 인플레이션 우려감 증가되며... | 2025.01.10 | 순금나라 | 200 |
175 | 美 트럼프의 관세 정책 불안감이 고조되며 국제금값 전일... | 2025.01.09 | 순금나라 | 187 |
174 | 중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 재개 소식에 국제금값 전일 대... | 2025.01.08 | 순금나라 | 173 |
173 | 美 인플레이션 재가열 우려감 고조에 美 10년물 국채금... | 2025.01.07 | 순금나라 | 122 |
172 | 美 연준의 매파적인 금리 인하 속도 조절 우려가 다시 ... | 2025.01.06 | 순금나라 | 125 |
171 | 트럼프 정책의 인플레이션 재확산 전망과 지정학적 긴장감... | 2025.01.03 | 순금나라 | 181 |
170 |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금값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 | 2025.01.02 | 순금나라 | 189 |
169 | 2025년 상반기 국제금값 온스당 2,500$~2,70... | 2024.12.31 | 순금나라 | 214 |
168 | 美 옐런 재무 장관, 특단의 조치 없으면 내년 1월 중... | 2024.12.31 | 순금나라 | 1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