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정보
美 중장기물 국채 금리가 급반등하며 국제금값 전일 대비 하락
☞한국금거래소-美 금리 인하 가능성 상승하면서 금값 상승했지만, 美 중장기물 국채 금리가 급반등하며 국제금값 전일 대비 '하락'
※ 美 7월 S&P 글로벌 제조업 구매 관리자 지수(PMI)하락과 美 6월 신규 주택 판매의 둔화는 美 금리 인하 가능성 상승하며 한때 국제금값은 2430$/T.oz까지 상승을 견인했지만, 美 중장기물 10년물, 30년물 국채 금리가 급반등하며 국제금값 2400$/T.oz선 아래로 '하락'
▷美 7월 S&P 글로벌 종합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5.0을 기록하며 6월 54.8보다 상승하고 월스트리트저널 WSJ 예상치 54.2보다 '상회'하며 22년 4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제조업 구매 관리자 지수(PMI)는 49.5를 기록하고 6월 51.6보다 '하락' 월스트리트저널 WSJ 예상치 51.7보다 '하회'하며 금값 상승을 견인
○ 美 7월 S&P PMI는 세부적으로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상승 폭이 1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며, 6월 미국 상품 무역 수지는 -960억 달러를 기록하고, 5월 -980억 달러보다 '하락' 이는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제시하고 이번 결과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화되고 양호한 성장이 이어지는 ‘골디락스’가 3/4분기에 펼쳐질 수 있음을 시사
▷美 6월 신규 주택 판매는 61만 7천 채를 기록하고 5월 62만 1천 채보다 0.6% '감소' 월스트리트저널 WSJ 예상치 63만 9천 채보다 '감소' 금리 인하 기대감 높이고 금값 상승을 견인
○ 美 6월 신규 주택 판매는 최근 높은 모기지 금리로 인해 미국 내 주택 수요 부진이 지속되며 美 금리 인하의 기대감을 높이며 발표 후 페드워치의 9월 금리 인하 전망을 100%로 상승에 영향, 2019년부터 2022년 초까지 3%대에 머물던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최근 6.8%대를 기록하고 이 가운데 초부유층 내 고급 주택 거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전국 부동산 중개인 협회(NAR)에 따르면 6월 판매 중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인 가격 범주는 100만 달러(약 13억 8천만 원) 이상 주택라고 발표
높은 모기지 금리가 가격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으나 대출 없이 현금으로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초부유층 구매자들은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분석되고 1분기 말 기준 미국 고급 주택 구매자의 현금 지불 비율은 45%에 달하는데 이는 10년 만에 가장 높은 비율이며 역사적으로 금리가 오르면 고가 주택이 가장 먼저 타격을 입었으나 오늘날에는 높은 주택 자산과 강력한 주식 시장이 부유한 미국인들의 이자율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
▷ 美 전 뉴욕 연방준비은행 더들리 총재는 "연준 7월 금리 내려야"라고 비둘기파적 발언을 시사하며 "금리인하로 경기 침체 방어 이미 늦고, 주저하면 위험만 증대"라고 경고하며 美 단기물 2년물 국채 금리 하락을 견인
○ 美 윌리엄 더들리 전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美 연준이 되도록 다음 주 열리는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라고 권고
더들리 총재는 연준 긴축 정책에 따른 경기 냉각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으며 경기 침체 신호 중 하나인 '삼 법칙'(Sahm Rule)에 불이 들어오기 직전이라고 강조하고 삼 법칙은 실업률 3개월 평균이 직전 12개월 저점보다 0.5%포인트 높아지면 경기 침체 위험이 높아진다는 경기침체 위험지표 중 하나라고 설명하며 최근 이 지표는 0.43% 포인트로 높아진 상태라고 지적
▷ 美 재무부는 잔존만기 7~10년 국채 바이백 입찰에서 매도 주문을 모두 거절하며 매입 거부하며 美 중장기 국채 금리 상승을 견인하며 금값 하락을 견인
○ 美 재무부에 따르면, 이날 실시된 잔존만기 7~10년 국채 바이백 입찰에는 37억 600만 달러어치의 매도 주문이 나왔지만, 美 재무부는 전혀 매입을 거부하며 지난 5월 말 정례 바이백이 시작된 이후 처음
美 재무부는 일반 국채의 1회 최대 매입액을 20억 달러로 설정하지만, 접수 가격이 적절치 않을 때는 모두 거절할 수 있으며, 美 재무부가 주문을 모두 거절한 것은 매도 주문 가격대가 비쌌기 때문으로 해석
▷ 美 국채금리는 단기물 '하락' 중장기물 '상승' 달러 가치 '하락' 국제금값 전일 대비 '하락'
○ 美 국채금리는 단기물 하락과 중장기물 상승하며 혼조세로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은 4.418%를 기록하고 전일 대비 6.50bp '하락' 10년물 4.286%를 기록하고 전일 대비 4.80bp '상승' 30년물은 4.548%를 기록 전일 대비 7.80bp '상승' 10년물과 2년물 간 역전 폭은 전 거래일 -24.5bp에서 -13.2bp로 급감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104.383을 기록하고 전일 대비 0.078% '하락'
○ 국제금값(XAU/USD)은 한때 2430$/T.oz까지 상승했지만 美 중장기 국채 금리 상승에 2430$/T.oz선 아래로 하락하며 전일 대비 '하락'
○ 오늘 금값은 미국 2/4분기 GDP 발표와 6월 잠정주택판매, ECB 라가르드 총재 발언, 7월 3주차 신규실업급여 청구건수 발표 주목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
번호 | 제목 | 날짜 | 작성자 | 조회 |
---|---|---|---|---|
264 |
이란을 둘러싼 전쟁 공포 확산에 중동지역 지정학적 긴장...
![]() |
2025.06.19 | 순금나라 | 418 |
263 |
美 FOMC 회의를 앞두고 달러 강세에도, 중동 전쟁 ...
![]() |
2025.06.18 | 순금나라 | 269 |
262 |
이란이 휴전과 핵 협상 재개를 원한다는 외신 보도가 발...
![]() |
2025.06.17 | 순금나라 | 405 |
261 |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에 중동 위기 고조와 美 인플레이...
![]() |
2025.06.16 | 순금나라 | 1019 |
260 |
美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 하회에 美 연...
![]() |
2025.06.12 | 순금나라 | 875 |
259 |
美 인플레이션 데이터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예...
![]() |
2025.06.11 | 순금나라 | 465 |
258 |
美-中 무역 협상 결과를 기다리며 관망세 고조되는 가운...
![]() |
2025.06.10 | 순금나라 | 855 |
257 |
美 견조한 고용 보고서에 美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 |
2025.06.09 | 순금나라 | 476 |
256 |
美 트럼프의 상호 관세 정책이 하루 만에 부활하고, 美...
![]() |
2025.05.30 | 순금나라 | 2232 |
255 |
美 연방 법원이 트럼프 상호 관세 발효 차단하며 국제금...
![]() |
2025.05.29 | 순금나라 | 694 |
254 |
美 트럼프의 EU 관세 부과 중단으로 위험 자산 선호 ...
![]() |
2025.05.28 | 순금나라 | 645 |
253 |
美 트럼프는 EU의 관세 부과를 연기하며 오락가락한 관...
![]() |
2025.05.27 | 순금나라 | 495 |
252 |
美의 새로운 관세 위협 재개에 안전자산 매수세 증가하면...
![]() |
2025.05.26 | 순금나라 | 671 |
251 |
美 하원이 트럼프의 예산안을 승인하며 달러 가치 상승하...
![]() |
2025.05.23 | 순금나라 | 2998 |
250 |
美 대규모 감세 정책 우려에 따른 재정적자 확대 공포감...
![]() |
2025.05.22 | 순금나라 | 4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