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 ETF 한 주간 8억 8,200만 달러 유입,...
■2023.11.27(월)9:30-귀금속원자재기준價-https://koreagoldx.co.kr/▼환 율 : 1,304.69원/$▲金국제가 : 2,006.10$/T.oz ■2023.11.27(월)금값 정보&뉴스☞한국금거래소-美11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50.8로 전월 50.6에서 0.2 포인트 소폭 상승 했지만,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49.4로 전월 50.0에서 0.6 포인트 하락 11월 제조업 PMI는 50을 밑돌며 제조업황이 위축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하고 특히 미국 서비스 및 제조 부문의 11월 고용지수는 49.7로 전월 51.3에서 0.6포인트 큰 폭 하락 고용지수는 50을 크게 밑돌며 수요 부진과 비용 상승의 영향으로 2020년 중반 이후 처음으로 감소 11월 美 종합 PMI 50.7로 '보합' 고용은 3년 반 만에 하락 고금리 장기화로 제조업 업황이 부진한 가운데 美경기 침체 우려되는 가운데,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내년 5월 금리 인하 전망을 64%로 상승 달러인덱스 103.360로 전일 대비 0.51% 하락 한편 美금 ETF는 한 주간 8억 8,200만 달러 유입되면서 18개월 만에 최대 자본 유입 소식에 국제금값 2000$/T.oz 돌파 ☞Investing-이번 주 금값 주요 지표 일정 美10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와 美연준 의장 Powell 연설 발표 주목, [11월 28일 화요일] 0시 : 10월 신규 주택판매, 0시 30분 : 11월 댈러스 연은 제조업지수, 22시 55분 : 레드북 소매판매지수, 23시 : 9월 S&P/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11월 29일 수요일] 0시 : 11월 콘퍼런스보드(CB) 소비자신뢰지수, 11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 22시 30분 : 3분기 기업이익(예비치) 및 3분기 국내총생산(GDP) 잠정치 [11월 30일 목요일] 4시 : 美연준 베이지북 공개, 22시 30분 : 실업수당청구건수,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PCE, [12월 1일 금요일] 0시 : 10월 잠정주택 판매, 23시 45분 :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PMI [12월 2일 토요일] 0시 : 10월 건설지출,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PMI, 01시 :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Powell 연설https://www.investing.com/economic-calendar/ ☞Goldreporter- 美금 ETF는 2022년 5월 이후 최대 규모의 자본 유입 은(SILVER) ETF도 증가, 최근 금값이 급등하면서 투자자들이 ETF로 몰리면서 일주일 만에 GLD는 8억 8,200만 달러 자본 유입, SPDR Gold Share(미국 증권 거래소 기호: GLD)의 운영자가 2023년 11월 23일 882.28톤의 재고를 보고 지난주에 비해 11.83톤이 증가, 재고량의 확장은 8억 2,600만 달러라는 자본 유입을 동반하고 이는 2022년 5월 이후 GLD에 대한 주간 순투자 중 최대 규모, 발행된 각 주식 증서에 대해 1주당 GLD 운영자는 금을 온스당 현물로 물리적으로 보관해야 해, 은 펀드인 iShares Silver Trust(SLV)도 금속 재고가 증가 전주 대비 은 ETF는 7.34톤이 추가되어 총 저장량이 13,722.27톤을 기록, 이러한 ETF는 최근 몇 년 동안 브로커를 통해 주식을 구매하는 젊은 미국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상승 중https://www.goldreporter.de/groesster-gold-etf-groesster-kapitalzufluss-seit-mai-2022/news/240879/ ☞Fntoday-기준금리 다시 동결 [앞으로 추가 인상 없을 것], 한국은행이 지난 2·4·5·7·8·10월에 이어 오는 30일에도 기준금리를 현 3.50%에서 묶을 것으로 예상, 경기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데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 금융시장 불안도 여전해 금리를 올리기가 어렵고, 가계부채·물가 잠재 위험과 미국과의 최대 폭(2.0%p) 금리차 등 때문에 내리기도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 미국의 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까지 줄어든 만큼, 전문가들은 한국은행도 당분간 동결 기조를 유지하다 내년 하반기께 인하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7618
2023.11.27